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영화 <1917> 역사배경 설명, 카메라 연출에 관하여

by 머니마니11 2023. 4. 10.

영화 <1917>은 제1 차세계 대전을 배경으로 한 병사의 시선을 따라가며 진행된다. 감독 샘 멘데스는 데뷔작부터 현재까지 훌륭한 작품석과 뛰어난 연출력으로 유명하며 전작은 007 스카이폴, 007 스펙터 등 다수의 영화를 연출한 베테랑이다. 그에 반해 주연은 조지 맥케이로 비교적 신인인데 이번 영화로 인상 깊은 연기를 보여주었다.

 

영화 <1917> 역사배경 설명

제 2차세계대전은 전방, 후방 할 것 없이 전 세계가 살육의 현장으로 바뀌었었다. 하지만 제1차 세계대전은 그 살육의 현장에 정확한 무대가 있다. 대부분 1차 대전의 가장 끔찍한 살육은 서부전선으로 불리는 남북으로 250마일 정도 길게 늘어진 지역에 집중이 되어있다. 서부전선의 분위기를 재현할 수 있다면 1차 세계대전을 재현할 수 있다는 것이 감독의 발상으로 생각된다. 영화의 두 주인공인 블레이크와 스코필드가 장군의 막사로 불려 가서 '노 맨스 랜드'를 건너야 한다는 명령을 받고 굉장히 당황해하는 장면으로 시작한다. 여기서 노맨스랜드는 독일군 참호와 연합군 참호사이에 있던 250M 넓이 정도의 공간을 말한다. 독일군이 처음 전쟁을 시작할 때는 프랑스 군이 빨리 항복할 것으로 예상했는데 실제로는 독일군과 연합군이 벨기에 해안부터 프랑스 중부까지 이어지는 300KM 정도의 전선을 두고 4년 동안이나 대치를 하게 된다. 그동안 세계에서 가장 뛰어난 산업생산력과 과학기술을 갖고 있던 나라들이 본인들의 모든 노하우를 동원하여 상대편을 죽이기 위해 사용하게 되는데 이것이 바로 '노 맨스 랜드'이다. 일부 역사가는 이를 '근대가 죽고 현대가 태어난 진창'이라고도 한다. 실제로 여기 참여했던 군인들은 중세기부터 내려오던 모든 신사도와 기사도에 대한 믿음을 잃게 되고 그것을 공산주의나 파시즘, 내셔널리즘 같은 20세기를 피바다로 만든 이념들로 대치하게 되는 것도 바로 노맨스랜드이다. 그렇기 때문에 1차 세계대전의 참호전 경험 없이 2차 세계대전의 유럽역사를 이해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샘 멘데스 감독은 그 체험을 모든 관객들에게 간접적으로 시켜주고 싶었다고 생각이 된다.

카메라 연출에 관하여

만약 서부전선을 한 번 뛰어서 건너가 볼 수 있다면 관객은 제 1차 세계대전의 참혹함을 그대로 체험해 볼 수 있다. 로저 디킨스 촬영감독의 혁신적인 카메라 워크로 관객은 두 주인공의 시선을 따라서 서부전선을 같이 뛰어서 건너보는 경험을 할 수 있게 감독은 기획했다. 스토리 라인은 비교적 간단하다. 한 병사가 A 지점에서 B 지점으로 가는 것이다. 그것에 왜 이동해야 하는지 목적을 부여하고 이동과정에서 일어나는 사건을 보태면 이야기가 완성된다. 제한시간이 주어지고 영화는 시간에 쫓기며 스릴러의 구조로 관객들의 몰입도를 높여준다. 그것을 하나로 이어진 편집 '원 컨티뉴어스 쇼트 (one continuous short)'를 통해서 구현하고 있다. 영화의 핵심적인 아이디어는 그러한 편집기법에 있다. 시작부터 끝까지 한 테이크로 시간과 공간을 담아내는 것이다. 그것에 추가로 마치 위성처럼 인물의 주위를 360도로 돌아가는 앵글을 통해서 전장의 모든 순간을 놓치지 않고 담아낸다. 로저 디킨스의 인터뷰에 따르면 실제로 가장 긴 테이크의 시간은 7~8분 정도이고 나머지는 편집등을 통해 교묘하고 매끄럽게 연결했다고 한다. 사전정보 없이 영화를 관람한 관객의 입장이라면 시간에 쫓기는 것 이외에도 또 다른 차원의 긴장감을 느낄 것이다. '이 장면이 언제 끝날까?' 또는 '언제까지 이어질까?' 하는 의문으로부터 말이다. 핵심은 한 호흡의 연속성을 유지해가고자 하는 태도, 정확히는 원 컨티뉴어스 쇼트라기보다 '롱 컨티뉴이티 쇼트 (long continuity short)'에 가깝다. 시공간을 자르지 않는다는 것이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 나로서는 이러한 편집으로 된 영화는 처음 접했기에 신선하면서도 경이로웠다. 많은 관객들이 나와 비슷한 감정을 느꼈는지 영화 1917은 제92회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촬영상, 음향효과상, 시각효과상을 수상할 정도로 편집에 대해 많은 찬사를 받았다.

댓글